티스토리 뷰
2023년도 7월 청년도약계좌 접수 시작되었습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월 40 ~ 70 만원 적금 시, 정부에서 최대 2만 4000원의 지원금을 매달 지급해 주는 정책입니다. 현재 존재하는 적금 중 최상위권 수익률입니다.
이번달 신청기간은 7월 3일 ~ 7월 14일입니다. 접수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서둘러서 신청하시길 바라겠습니다.
해당 글을 통해 신청 방법 및 혜택, 가입조건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.
신청 바로 하기
청년도약계좌는 상당한 정부 자금이 소모되는 정책입니다. 선착순으로 중단되거나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빠르게 신청하기를 추천드립니다.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가입조건은 만 19 ~ 34세 사이 청년이어야 합니다. 또한 개인 소득이 6,000만 원 이하이며, 가구소득 중위소득의 180% 이하여야 합니다.
1. 나이 요건
- 만 19 ~ 34세 사이 청년
-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복무기간(최대 6년)은 연령 계산 미포함
2. 개인소득 요건
- 22년도 소득 6,000만 원 이하
- 6,000만 원 초과 7,500만 원 이하는 기여금 지급 없이 비과세 혜택 적용
3. 가구소득 요건
- 중위소득 180% 이하
- 가구원은 주민등록등본에 기입된 부모, 배우자, 자녀, 미성년자 형제&자매 포함
구분 | 22년 중위소득 | 180% |
1인 가구 | 1,944,812 | 3,500,661 |
2인 가구 | 3,260,085 | 5,868,153 |
3인 가구 | 4,194,701 | 7,550,461 |
4인 가구 | 5,121,080 | 9,217,944 |
5인 가구 | 6,024,515 | 10,844,127 |
청년도약계좌 혜택
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가 매월 70만 원 한도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합니다. 만기는 5년이고, 중간에 납입하지 않아도 계좌는 유지됩니다.
2022년도 개인소득 수준과 월 납입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차등지급됩니다. 이자소득 및 비과세 혜택도 추가적으로 지급됩니다. 요약해서 말하자면 이자소득(약 4~6%) + 정부지원금(최대 2,4000) + 비과세혜택(15.4% 할인) 혜택이 있습니다.
개인소득 | 기여급 지급한도(월) | 기여금 매칭% | 기여금 한도(월) |
2,400만 원 ↓ | ~40만 원 | 6.0% | 2.4만 원 |
3,600만 원 ↓ | ~50만 원 | 4.6% | 2.3만 원 |
4,800만 원 ↓ | ~60만 원 | 3.7% | 2.2만 원 |
6,000만 원 ↓ | ~70만 원 | 3.0% | 2.1만 원 |
7,500만 원 ↓ | - | - | - |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
청년도약계좌는 매월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. 2023년 7월은 7월 3일 ~ 7월 14일까지 접수할 수 있습니다. 가입 신청은 은행 방문 및 청년도약계좌 취급 은행 어플을 통해 빠르게 비대면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Q&A
다른 청년 상품과 중복가입이 가능한가요?
'청년희망적금' 상품과 청년도약계좌는 중복가입이 불가능합니다. 다른 모든 상품은 중복가입 가능합니다.
이자율은 어떻게 되나요?
은행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가입 후 3년간 고정금리입니다.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. 저소득층에게는 우대금리가 적용되어 4~6% 사이일 것이라고 보입니다.
만기 시 비과세 혜택이 무엇인가요?
청년도약계좌는 이자소득세 15.4%가 비과세로 면제됩니다. 만기 시 이자소득을 그대로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상담
추가적으로 궁금한 사항은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에서 확인 및 상담이 가능합니다.
서민금융진흥원에서도 자세한 안내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.
맺음말
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 원씩 적금한다면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 여러분 모두 신청해서 꼭 좋은 혜택으로 목돈 마련하셨으면 좋겠습니다.